2025년 4월 9일 수요일

마태복음 1:18-25 묵상, 성령으로 잉태된 예수님

 

성령으로 잉태된 구속: 예수의 탄생에 담긴 하나님의 뜻

마태복음 1장 18절부터 25절은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기사로, 신약 전체를 여는 구속사의 첫 장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본문은 단순한 출생 기록을 넘어서, 구약의 예언이 어떻게 성취되었는지, 또 하나님의 아들이 인간 역사 속에 어떻게 들어오셨는지를 선언하는 신학적 고백입니다. 마태는 매우 절제되고 간결한 표현으로 예수의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드러내며, 구속사의 중심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를 우리에게 보여줍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나심은 이러하니라 그의 어머니 마리아가 요셉과 약혼하고 동거하기 전에 성령으로 잉태된 것이 나타났더니..." (마 1:18)

이 구절부터 우리는 성령, 순종, 말씀의 성취라는 키워드를 따라 하나님의 놀라운 계획이 실현되는 과정을 바라보게 됩니다.

성령으로 시작된 구속: 신성과 인성의 신비

"예수 그리스도의 나심은 이러하니라" — 헬라어 원문은 Τοῦ δὲ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ἡ γένεσις οὕτως ἦν, 직역하면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은 이러하였다"입니다. 여기 사용된 γένεσις는 앞서 1장 1절에 등장한 "계보"의 단어와 동일하며, 이는 단순히 출산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대, 새로운 창조의 시작이라는 신학적 의미를 지닙니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께서는 새 창조의 역사를 열어가십니다.

"그의 어머니 마리아가 요셉과 약혼하고 동거하기 전에 성령으로 잉태된 것이 나타났더니" — 마태는 인간적인 방법이나 관계를 통해 예수께서 오신 것이 아님을 명확히 합니다. 여기서 "성령으로 잉태되었다"(ἐκ Πνεύματος Ἁγίου)는 구약 창조 기사에 등장하는 하나님의 영, 곧 ‘성령’이 인간 안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으신 사건을 떠올리게 합니다. 창세기 1장의 혼돈 위를 운행하시던 성령께서 이제는 마리아의 태 속에 생명의 씨앗을 잉태하십니다.

이는 예수께서 완전한 인성을 지니시되, 죄인의 혈통 안에서 잉태되지 않고, 하나님의 의도와 주권 아래 성결하게 오신 분임을 증거합니다. 그리스도의 성육신은 인류 구원의 근간이며, 이 땅의 모든 인간 구속이 사람의 능력이나 의도가 아닌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로 이루어진다는 선언입니다.

의로운 자 요셉: 순종으로 응답하는 구속사의 통로

"그의 남편 요셉은 의로운 사람이라 그를 드러내지 아니하고 가만히 끊고자 하여" — 요셉은 본문 속에서 매우 조용하지만 결정적인 인물로 등장합니다. 여기서 "의로운 사람"(δίκαιος)이라는 표현은 단순한 도덕적 성품이 아니라, 율법을 존중하면서도 은혜와 긍휼을 행하는 자의 모습입니다. 요셉은 율법에 따라 약혼녀의 임신을 문제 삼아 공개적으로 고발할 수도 있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율법의 형식보다,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의로움을 택한 것입니다.

요셉의 이 결정은 하나님의 계시 없이 이루어진 것이지만, 그의 마음 중심에 하나님의 자비가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그는 자기의 명예보다 마리아의 수치를 덜어주려는 사랑과 책임을 가진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에게 더 크고 놀라운 구속사의 사명을 맡기십니다. 바로 성령으로 잉태된 아이를 품고, 다윗의 후손으로서 메시아의 법적 아버지가 되는 길입니다.

"주의 사자가 현몽하여 이르되..." — 하나님은 꿈을 통해 요셉에게 말씀하십니다. 이는 구약 시대 하나님이 계시를 주시던 방식 중 하나이며, 구속사 속에서 요셉이라는 인물이 단지 도구가 아닌, 하나님의 계시를 듣고 순종하는 신앙의 사람임을 나타냅니다. 요셉은 그 말씀에 지체 없이 순종합니다. 이는 ‘말씀의 사람’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모범입니다.

임마누엘,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시다

천사는 요셉에게 태어날 아기의 이름을 알려줍니다. “아들을 낳으리니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그들의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 하니라.” (21절) — 예수라는 이름(Ἰησοῦς)은 히브리어 여호수아(יְהוֹשׁוּעַ)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여호와는 구원이시다”라는 뜻입니다. 예수라는 이름은 그분의 사명이자 정체성입니다. 단지 구약의 또 다른 지도자가 아니라, 죄에서 백성을 구원하시는 참된 구속자, 메시아이신 것입니다.

마태는 이 사건이 이사야 7:14의 예언 성취임을 밝힙니다.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의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하셨으니” — ‘임마누엘’(Ἐμμανουήλ)은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시다”는 뜻입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원래 앗수르의 위협 앞에서 남유다에게 주신 표적이었으나, 마태는 그것을 메시아적 관점에서 해석합니다. 임마누엘은 단지 위기의 순간의 위로가 아니라, 영원한 구원의 성취입니다. 예수님은 인간 역사 속으로 들어오신 하나님이시며, 죄 가운데 있던 백성에게 ‘함께 하심’이라는 가장 근본적인 회복을 이루시는 분이십니다.

요셉은 잠에서 깨어 하나님의 말씀대로 마리아를 데려오고, 아이가 태어나기까지 동침하지 않으며, 이름을 ‘예수’라 짓습니다. 그는 말씀에 대한 전적인 순종으로 응답합니다. 이 모습은 하나님의 구속계획에 참여하는 인간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그것은 계획을 짜는 것이 아니라, 말씀을 듣고 순종하는 것입니다.

결론

마태복음 1장 18절부터 25절까지는 예수님의 탄생 사건을 통해, 성령의 역사, 말씀의 성취, 그리고 순종하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는 구속사의 개요와도 같은 장면입니다. 하나님은 성령으로 구속을 시작하셨고, 말씀으로 그 구속을 설명하시며, 의로운 자 요셉을 통해 그 계획을 이루어가십니다. 무엇보다도 이 사건을 통해 우리는 구속의 핵심이 ‘임마누엘’ 곧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시는 것’임을 다시 확인하게 됩니다.

하나님은 멀리 계신 분이 아니라, 우리 안에 오시는 분입니다. 인간의 죄와 연약함 속으로, 가장 낮고 조용한 방식으로 찾아오셔서, 죄인을 위한 구원을 시작하신 그 예수. 그분은 지금도 우리의 삶 가운데 임마누엘로 함께 하십니다. 그러므로 오늘도 우리 인생의 계획과 두려움 속에서 요셉처럼 말씀 앞에 서야 합니다. 그리고 순종으로 응답해야 합니다. 주님이 주도하시는 구속사에 동참하는 길은 언제나 말씀에 귀 기울이는 순종에서 시작됩니다.

마태복음 1:18-25 묵상, 성령으로 잉태된 예수님

  성령으로 잉태된 구속: 예수의 탄생에 담긴 하나님의 뜻 마태복음 1장 18절부터 25절은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기사로, 신약 전체를 여는 구속사의 첫 장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본문은 단순한 출생 기록을 넘어서, 구약의 예언이 어떻게 성취되었...